™ My Story/거북이의 자기경영

과거로부터 온 소환장

카잔 2016. 7. 18. 10:05


1.

박보람의 <혜화동 (혹은 쌍문동)>을 들었다. 성인들은 자신이 사는 도시를 무대로 산다. 타향을 떠난 이들은 두 도시를 산다. 여행을 즐기며 타지를 향유하는 이들은 보다 넓은 세계를 산다. 아이들은 다르다. 자신의 동네에서 산다. 그런 아이들에게 친구의 이사는 슬픈 이별이다. 대구에 살았던 나는 친했던 친구가 수원으로 이사갈 때, 기차역 플랫폼까지 나와 떠나보내고서 울었다. 열 아홉 살의 일이다. 박보람의 노래를 들으며 떠오른 이미지들이다.




오늘은 잊고 지내던
친구에게서 전화가 왔네
내일이면 멀리 떠나간다고

어릴 적 함께 뛰놀던
골목길에서 만나자 하네
내일이면 아주 멀리 간다고

덜컹거리는 전철을 타고
찾아가는 그길
우리는 얼마나 많은 것을
잊고 살아가는지


2.

마지막 가사가 가슴을 친다. "우리는 얼마나 많은 것을 잊고 사는지!" 어떤 사람들은 종종 이렇게 말한다. "기억나지 않는 건 중요하지 않아서야." 참 안일하고 경솔한 말이다. 어떤 때에는 그 말에 화가 날 지경이 되기도 한다. 너무나도 틀린 말이기에.


나는 엄마의 목소리가 기억나지 않는다. 세상에서 가장 소중했던 분의 목소리를 이억하지 못하는 건 슬픈 일이다. 극단적인 사례라 여겨진다면, 우리가 얼마나 자주 소중한 것들을 잊고 사는지 생각해 보시기를 권하고 싶다. 부모님의 생일, 놓치지 말았어야 했을 중요했던 업무, 배우자나 아이들과의 약속... 수도 없다.


우리는 업무와 일상에 치여 친구에게 안부 묻는 일도 잊고 산다. 모든 친구가 아닌 소중한 친구에게마저 그렇게 지내고 만다. 좋은 술을 마실 때 떠오르는 이가 친구다. 내 행복과 슬픔을 함께 해 주는 이가 친구다. 그런 친구 한 두 명을 당신은 가졌는가. 그런데도 그를 잊고 살 때가 있지 않은가.


우리는 얼마나 많은 것을 잊고 살아가는지.

때때로 소중한 것들마저도.


3.

"그냥 잊혀버린 경험은 되살려보려고 아무리 끈질기게 애써 노력하더라도 좀처럼 기억나지 않는다. 우리가 잊었다는 걸 잊었을 때, 바로 그때가 우리와 과거 사이의 문이 닫히는 순간이다." 로버르 그루딘의 『당신의 시간을 위한 철학』(p.249)에 나오는 말이다. 우리는 평소에 우리가 얼마나 많은 것을 잊고 살아가는지도 모른 채 산다는 말이다. 이중의 망각이다.





4..
그럼 어떡해야 하는가. 마르셀 프루스트가 힌트를 준다. 프루스트는 잊혀진 기억을 혼자 힘으로 떠올릴 수는 없다고 생각한 사람이었다. 어떠한 감각, 이를 테면 어떤 맛, 어떤 음악, 어떤 물건이 우리의 과거를 소환할 수 있을 뿐이다. 저 유명한 마들렌 이야기가 실린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1권을 보자.

"나는 마들렌 조각이 녹아든 홍차 한 숟가락은 기계적으로 입술으로 가져갔다. 그런데 과자 조각이 섞인 홍차 한 모금이 내 입천장에 닿는 순간, 나는 깜짝 놀라 내 몸 속에서 뭔가 특별한 일이 일어나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이유를 알 수 없는 어떤 감미로운 기쁨이 나를 사로잡으며 고립시켰다."(김희역 역, 민음사, p.86)

주인공은 마들렌 덕분에 잊고 지냈던 어린 시절을 떠올린다. 마들렌이 그를 과거의 세계로 초대했다. 과거는 종종 우리는 소환한다. 소환장은 그때그때 바뀐다. 마들렌, 한물 간 대중가요, 상자 속 물건, 빛바랜 사진, 연탄과 같은 예전의 생필품들이 우리를 과거로 부른다. 어쩌면 우리가 과거를 소환하는지도 모르지만.

5.
소환인이 누구인가는 중요치 않다. 과거의 현재의 만남이 중요하다. 만남은 매우 일시적이다. 과거에 대한 기억은 금방 다시 사라지고 만다. 현재가 다시 우리를 찾기 때문이다. 일부의 사람들만이 과거와의 만남을 기록으로 남겨 향유한다. 프루스트처럼 하나의 소설로 형상화해는 경우라면, 향유의 정점이라 하겠다.

과거를 떠올릴 때마다 그것을 화해하거나 음미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나는 믿는다. 최소한 내게는 중요하다). 어린 시절의 경험이 어른이 된 후의 관계와 생각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임상심리학 박사 데이비드 리초도 『어른이 된다는 것』에서 어린 시절의 경험과 화해하는 것이 어른이 되는 주요한 과정이라고 썼다.)

나와 같은 생각을 가진 분이라면, 소환장에 성실하게 응하는 것이 중요하리라. 오늘 아침, 내가 <혜화동 (혹은 쌍문)>의 소환에 응한 것처럼. (나는 수원으로 간 친구에 관한 글을 썼고, 그에게 안부전화를 했다. 평택에 사는 친구에게는 안부 메일을 보냈다.) 사람은 누구나 과거를 가졌다. 살다가 과거로부터 온 소환장을 만난다는 말이다. 부디 성실히 임하시기를.

덧.
<혜화동 (혹은 쌍문동)>은 1988년에 발표된 동물원의 <혜화동>을 박보람이 다시 부른 곡이다. 원래 제목은 '혜화동'인데 <응답하라 1988>의 배경이었던 '쌍문동'을 괄호 안에 넣었다. (혜화동이 예전엔 쌍문동이었던 게 아니다.) 박보람의 노래가 원곡보다 세련된 느낌이지만, 동물원의 노래는 또 다른 감성을 부른다. 박보람이 부르면 여고생이 떠오르더니, 동물원이 부르면 남학생들의 모습이 떠오른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