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주말에 안동 옥연정사에 다녀왔다. 서애 선생은 임진왜란의 기록을 담은 제132호 국보『징비록』을 '옥연정사'에서 썼다. 정사 출입문 앞에 서면 낙동강과 하회마을이 보인다. 부용대와 함께 하회마을 전경을 즐기기에 맞춤한 장소다. 정사에 들어서기 전 낙동강을 내다보니, 잠시 휴식하면서 강 너머 고향 마을을 바라보는 서애 선생이 눈 앞에 아른거렸다. 아름다운 고향과 전란의 비참함이 대비되면서, 『징비록』 집필에 박차를 가하셨으리라. '다시는 이런 전란이 일어나서는 안 될 것이야.' ('징비'는『시경』 소비편 "나는 지난 날을 징계하여 후환을 경계한다(予基懲而毖後患)"에서 따온 구절이다.) 2. 퇴계 선생은 61세가 되어서야 도산서당을 완공했다. 학문을 연마하고 자연을 감상할 공간을 마련하는 일은 퇴계 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