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02/06 2

독서, 낮잠 & 길거리 풍경

1. 집에서 푸욱 쉬었다. 2월 1일부터 헤르페스 각막염이 찾아와 간간이 나를 괴롭혔기에 녀석을 잠재우고 싶었다. (괴로움은 크지 않다. 눈이 뻑뻑하고 눈물을 흘리는 정도다.) 2015년을 시작하며 헤르페스에 대해 목표를 세워 둔 것이 있다. 분기별로 1회씩, 딱 네 번만 아프자는 것이었다. 아직까지는 목표를 지켜가고 있다. 1월에 3번 아팠고, 2월에 한 번 아팠으니 남은 11개월 동안 한 번도 아프지 않으면 된다. 하하. (사실 1월에 발병 주기를 보며 좀 놀랐다. 역시 측정하고 나면 보다 합리적인 계획을 세우게 된다. 수정된 계획은 월 1회가 목표다.) 2. 하루 동안 한 일이라고는 독서와 식사 그리고 낮잠 밖에 없다. 뒹굴 거리며 책을 읽었고, 조금만 졸리면 내 몸을 졸음에 맡겼다. 저녁이 되니,..

이상문학상 작품집을 읽다가

1. 『2015년 이상문학상 작품집』을 읽는 중이다. 대상 수상작 김숨의 와 한유주의 을 읽었다. 는 삶의 터전을 잃거나 극심한 정체성의 상실을 겪은 소수자들(종군위안부, 입양고아 등)의 아픔을, 뿌리채 뽑힌 나무를 통해 형상화한 작품이다. 문학평론가 이태동 선생의 말마따나, "기계문명이 생력을 파괴하는 문제는 로렌스 등 많은 현대 작가들이 다뤄온 주제"다. 나 역시 이 소설에서 새로운 통찰을 얻지는 못했다. 땅에서 뽑혀진 나무의 뿌리 형상을 통해 절묘하게 상실과 아픔을 드러낸 표현에 신선감을 느낀 정도다. 문학사의 걸작들은 주제가 진중했을 뿐만 아니라 시대를 선도했다. (철학에서는 데카르트로, 역사에서는 종교개혁으로, 문학에서는 보카치오(1313-1375)의 『데카메론』를 근대의 출발점으로 본다. 보카..